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관절가동범위운동(ROM) 정의 종류 주의점 적용

by 손봉칠 2024. 3. 26.

 

1. 관절가동범위운동의 정의

관절가동범위운동은 치료적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에서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움직임을 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본적 기법으로 근육이나 외부의 힘에 의해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가능한 최고의 운동범위를 말합니다.

근육, 관절의 표면, 관절주머니(관절낭), 인대, 근막, 혈관, 신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관절범위를 설명하기 위해 굽힘, 폄, 벌림, 모음, 돌림과 같은 용어가 사용됩니다.

 

정상적인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 분절은 관절범위 또는 근육범위든 가능한 범위에서 주기적으로 움직여져야 합니다. 관절가동범위를 감소시키는 많은 요인들에는 전신 질환, 관절 질환, 신경 질환, 근육 질환, 외과적 또는 외상성 손상, 비활동이나 비가동성이 있다고 합니다. 치료적으로 관절가동범위운동은 조직의 유연성 감소와 구축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절과 연부조직의 유연성 감소와 구축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절과 연부조직의 가동성을 유지시킬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2. 관절가동범위운동의 종류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passive ROM)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passive ROM은 외부의 힘에 의해 제한되지 않은 가동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신체분절의 움직임으로, 수의적 근수축이 거의 없거나 발생하지 않는 관절가동범위운동으로 환자가 불수의적일 때 가능한 가동범위운동입니다. 급성염증이 있는 부위, 능동적 움직임이 불가능하거나 능동적 움직임을 제한해야 할 때 쓰입니다.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은 근육을 키우거나 지구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얻기 힘듭니다.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active ROM)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 active ROM은 관절을 가로지르는 근육의 능동적 수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신체분절의 움직임입니다. 환자 스스로 움직임이 가능한, 수의적인 근수축 움직임입니다. 능동적으로 근육을 수축하고 보조 없이 신체분절을 움직일 때, 유산소 컨디셔닝 프로그램을 위해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이 쓰입니다.

 

✅능동-보조관절가동범위운동(active-assistive ROM)

능동-보조관절가동범위운동, active-assistive ROM은 움직임을 완전히 수행할 때, 주동근을 도와줘야 하기 때문에 보조가 도수적 또는 기계적인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능동운동의 한 형태입니다. 환자의 근육이 약하고 원하는 범위만큼 관절을 움직일 수 없을 때 충분한 보조를 제공하며 점진적으로 근력이 강화되도록 합니다.

 

3. 관절가동범위운동의 주의점과 금기증

관절가동범위운동이 치유 과정을 방해할 때에는 쓰이지 않습니다. 초기 치유기간에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시행되는 조절된 운동은 치유와 조기회복에 유익한 것으로 보이나 운동량이 많거나 잘못된 운동으로 나타나는 통증과 감염이 보일 때에는 쉬게 해 주고, 냉찜질(아이스팩)로 염증을 줄입니다.

 

심근경색증, 관상동맥우회수술 또는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후 초기운동으로, 팔에 대한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과 보행이 조심스럽게 이루어지는데 환자가 힘들어하는 정도와 혈압에 조심해야 하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에 있을 때에 쓰이지 않습니다. 큰 관절에는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을 조심스럽게 실시하며 발목과 발에 정맥정체와 혈전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을 해줘야 합니다.

 

4. 관절가동범위운동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원칙과 절차

관절가동범위운동에 참여하는 환자의 능력을 판단하고 어떤 관절가동범위운동을 사용할지 정합니다. 환자의 건강상태에 맞게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동범위를 정하고 목표에 맞는 최선의 패턴을 정해야 합니다. 치료할 동안 환자의 일반적인 상태와 반응을 관찰해 변화를 기록하고 치료에 대해 토의하며 필요하면 치료를 수정합니다.

환자의 자세는 신체정렬과 안정성을 가지며 가능한 관절가동범위를 통해 신체분절을 움직이도록 합니다.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passive ROM)의 적용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을 하는 동안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강제적인 움직임이나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수동운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무릎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 수동관절가동범위에는 CPM(지속적 수동운동장치)이 있습니다. 기계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천천히, 지속적으로 관절을 운동시킬 수 있습니다. CPM은 구축이나 수술 후 가동범위 증진을 위해 사용하며 관절경직을 예방, 윤활작용을 하는 활액을 증가시켜 관절 내 연골의 치유와 재생 속도를 촉진시키며, 관절가동범위의 빠른 회복을 제공합니다.

 

✅능동관절가동범위운동(active ROM)의 적용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을 통해 원하는 움직임을 환자에게 가르친 다음, 환자가 그 운동을 하도록 요구합니다. 보조는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 필요할 때(근력이 약할 때, 관절가동범위의 시작이나 끝, 중력의 영향으로 가장 큰 모멘트 팔이 생길 때)만 주어져야 하며 운동은 가능한 관절가동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