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

손목터널증후군이란 검사 치료 사무직 직장인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현대인의 건강 문제 중하나인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에 힘이 빠진다거나 엄지, 검지, 중지의 감각이상이 나타날 경우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란?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등의 손목뼈와 손바닥쪽의 가로손목인대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정중신경이 압박되는 것을 말합니다. 공간이 압박되면 정중신경이 손상되어 갑자기 손목에 힘이 빠진다거나 손의 감각이 떨어지고 물건을 떨어뜨리기도 하는 근육 약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 손목터널증후군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질환입니다. 첫째,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무직이거나 반복적으로 손목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과사용증후군입니다. .. 2024. 4. 1.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증상 관리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을 구분하며 각 증상에 맞는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뼈관절염 Osteoarthritis (퇴행성 관절염 Degenerative arthritis)의 정의와 원인 뼈관절염(OA)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나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는 퇴행성만성 질환으로 관절 모양의 변형과 함께 통증과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이, 성별, 비만 등이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키며 대부분 노화와 관련되어 고령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일차성(특발성) 퇴행성 관절염과 외상, 세균성이나 결핵성 관절염 후 관절 연골이 파괴되거나 심한 충격이나 반복적인 가벼운 외상 후에 발견되는 이차성(속발성) 퇴행성 관절염이 있습.. 2024. 3. 31.
관절가동범위운동(ROM) 정의 종류 주의점 적용 1. 관절가동범위운동의 정의 관절가동범위운동은 치료적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에서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움직임을 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본적 기법으로 근육이나 외부의 힘에 의해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가능한 최고의 운동범위를 말합니다. 근육, 관절의 표면, 관절주머니(관절낭), 인대, 근막, 혈관, 신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관절범위를 설명하기 위해 굽힘, 폄, 벌림, 모음, 돌림과 같은 용어가 사용됩니다. 정상적인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 분절은 관절범위 또는 근육범위든 가능한 범위에서 주기적으로 움직여져야 합니다. 관절가동범위를 감소시키는 많은 요인들에는 전신 질환, 관절 질환, 신경 질환, 근육 질환, 외과적 또는 외상성 손상, 비활동이나 비가동성이 있다고 합니다. 치료적으로 관절.. 2024. 3. 26.
흉쇄유돌근 목빗근 기초해부학 기능 증상 이완 방법 흉쇄유돌근 기초해부학구용어로 흉쇄유돌근, 신용어로 목빗근, 영어로 Sternocleidomastoid(SCM)라고 합니다. 흉쇄유돌근은 sterno + cleido + mastoid 세 단어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근육의 부착부위인 흉고르 쇄골, 유양돌기의 명칭에 의해 유래된 이름입니다. 기시 부위는 두 군데. 정지 부위는 한 군데로 양쪽, 한쪽 작용 시 작용이 다르니 참고해야 합니다. ✅ 기시 ▪️ 흉골지 Sternal division : 흉골병(복장뼈자루) Manubrium of sternum ▪️ 쇄골지 clavicular division : 쇄골 내측(빗장뼈 안쪽) Medial clavicle 흉골 Sterno는 가슴 가운데에 있는 평평한 뼈를 의미하며 쇄골 Cleido는 목 아래에 가로로 길게.. 2024. 3. 26.